728x90
대칭키
-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암호 키를 쓰는 알고리즘
- 암호 키를 가로채면 암호화된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 다수가 통신을 할때에는 키의 개수가 급증하게 되어 한계가 있다.
- 속도가 빠르다
비대칭키
- 암호화와 복호화할 때 키를 서로 다른 키로 사용하는 암호화 알고리즘
- 공개되어서는 안되는 private key와 공개 가능한 public key를 한쌍으로 이루어진 형태
- 보안상 개인키가 없다면 복호화가 이루어질 수 가 없다.
- 속도가 좀 느리다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예)
- A가 B의 공개키를 가지고 데이터를 암호화 한다 -> 이걸 B에게 주면 ->B는 개인키로 이걸 복호화 한다.
- 더쉬운 예로는 B라는 사람에게 A라는 사람이 메세지를 전달할때 A는 B의 열린자물쇠(공개키)를 들고와 상자에 메시지를 넣고 자물쇠로 잠근다. 이 상자를 B는 자물쇠의 열쇠(개인키)를 가지고 상자를 열어 볼수 있다.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계층 TCP/IP 4계층 (0) | 2024.01.17 |
---|---|
Synchronous 와 Asynchronous란? (0) | 2023.12.27 |
TCP와 UDP의 차이점 (2) | 2023.12.20 |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 (0) | 2023.12.20 |
http와 https의 차이점 (0) | 2023.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