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예) java 기준
1. System.out.println("SON" + 11); -> SON11
이런식으로 11은 묵시적형변환으로 문자로 취급되어 출력된다.
2. int a double b a/b -> 실수값이 나옴
위와 같이 자료형이 둘이 다를경우 자료형의 범위가 큰것을 기준으로 작은것이 바뀌게 된다
int a -> double a 로 잠깐 변하여 계산되어진다
a/b -> 실수/ 실수 로 실수값이 나오게 된다
작은 범위의 자료형이 큰 범위의 자료형 기준으로 변하게된다. 이걸 묵시적형변환이라고 한다.
why? 큰범위 기준으로 자료형이 변하게 되는걸까?
만약에 작은 범위의 자료형을 기준으로 바뀌게 된다면 범위가 안맞을수 있기 때문이다ex) int a =123; double c=12312312313213213; a/b b가 작은 범위인 int 정수 로 묵시적형변환이 일어나게 된다면 만약 b의 값이 int범위를 넘서게 되어 오류가 나온다.

728x90
'java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에서 Enum + Bitmask 패턴 활용하기 (0) | 2025.02.10 |
---|---|
BitSet 이란? in java (4) | 2025.02.03 |
API 요청 하기 restTemplate 사용 (0) | 2024.05.10 |
API 사용을 위해 HTTP 요청 헤더 만들기 (0) | 2024.05.10 |
sping boot (intellj)편리한 단축키 (0) | 2024.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