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iterm 창을 두개 실행시킵니다.
2. 하나의 iterm에 export MallocStackLogging=1 을 쳐서 환경변수 설정을 해줍니다.
3.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줍니다. 이때 실행파일을 만들려고 컴파일 할때 -g 라는 옵션을 넣어준다 ex)
4. 다른 iterm창에서
leaks --list 실행한파일명
위와 같이 적고 엔터를 누르면
5.
위와 같이 Call stack 이 뜨고 뒤에 메모리 누수가 난곳이 ft_strjoin.c :28 이렇게 ft_strjoin.c함수의 28번째 줄에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728x90
'c언어 || 컴퓨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함수 (0) | 2023.05.30 |
---|---|
segmentation fault 원인 찾는법 (0) | 2023.05.22 |
[리눅스]perror함수 - 오류 메시지 출력 함수 (0) | 2023.01.16 |
virtual box Linux 명령어 (0) | 2023.01.02 |
최대 fd 개수 확인 명령어 (0) | 2023.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