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2 2025.04.11 1. "Let's sync up later today to go over the project timeline and identify any blockers."→ 오늘 나중에 프로젝트 일정 검토하고 문제되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보자고요.2. "Can you push the latest changes to the repository and open a pull request?"→ 최신 변경 사항을 레포지토리에 푸시하고 PR 열어줄 수 있어요?3. "We're aiming to deploy the update by the end of this week, so let's finalize all testing by Thursday."→ 이번 주 안에 업데이트 배포가 목표니까, 목요일까지는 테스트를 마무리하자고요. 2025. 4. 11. 2025.04.10 1. we can improve this feature to make it more intuitive for users이 기능은 사용자 경험을 고려해 더 직관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2. i've completed thorough testing to ensure stability before deployment배포 전에 충분한 테스트를 거쳐 안전성을 확인했습니다. 3. after reproducing the issue, i found the root cause was in the caching logic이슈를 재현해 본 결과, 원인은 캐시 처리 로직에 있었습니다. 2025. 4. 10. 스프링 bean을 사용하는 이유 객체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스프링이 대신 관리하게 할려고 1. 객체를 스프링이 대신 생성하고 관리해주기 위해(DI - 의존성 주입)@Componentpublic class MyService { public void doSomething() { System.out.println("일 수행 중!"); }}@RestControllerpublic class MyController { private final MyService myService; // 스프링이 MyService를 자동으로 넣어줘 public MyController(MyService myService) { this.myService = myService; }} 2. 싱글톤으로 관리돼서 메모.. 2025. 4. 10. 2025.04.09 it's been a busy day!!오늘 하루 바빴어 let me check the logs and get back to you!로그를 확인해보고 다시 알려드릴게요 can we deploy it to the aws server first?먼저 aws서버에 배포해볼 수 있을까요? 2025. 4. 9. 컴포넌트 스캔 @ComponentScan 이걸 설정 정보에 붙여준다. 1. @Component 애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스캔해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는 기능을 가진다. 2. @ComponentScan( basePackages = "haha.study",)위와 같이 basePackages -> 탐색할 패키지의 시작 위치를 지정한다지정하지 않으면 -> @ComponentScan 이 붙은 설정 정보 클래스의 패키지가 시작 위치! 수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 수동 빈이 자동빈을 오버라이딩 한다. -> 수동 빈 등록이 우선권을 가진다. +)@Autowired-> @Component 붙은 클래스 내에서 의존성 주입을 자동으로 넣어 주는 애노태이션이다. -> 주로 생성자에서 사용한다. .. 2025. 4. 6. 디렉토리와 패키지 차이점 패키지 : 자바 파일들의 모음ex) service, DTO, 등등.. 디렉토리 : 자바 파일 이외 것들의 모음ex) 보통 src를 의미함 2025. 4. 4. 2025.04.04 1. 패키지와 디렉토리의 차이점 2025. 4. 4. ppt 작성시 하지 넣지 말아야될 말들 1. 표정은 발표자의 이미지(웃는 모습)2. 말투(자신감, 준비성의 정도)3. 워딩의 흐름(준비성, 성실성, 기술력 간접 체크)4. 청중의 반응 유도(질의 응답 등)5. 시선 (시선을 피하면 소극적 자신감 없다, 너무 오래 보면 싸우자 드루와) 1. 이번에는 저희가 어려워서 또는 시간이 없어서 못했다.2. 다음에는 더 기술을 추가 하려고 한다.3. 목표는 화면에 보이는 것과 같습니다. 하고 넘어 가는 것4. 이 부분은 다들 구현한 기술이라서~~5. 프로젝트는 배우는 과정이라서~~ 2025. 4. 3. 스프링이란? 좋은 객체 지향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2025. 3. 24. chatService Serializable은 객체를 직렬화(Serialization) 하기 위해 사용돼요.직렬화는 객체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이에요. 이렇게 하면 객체를 파일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어요.왜 필요한가?채팅 프로그램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객체를 주고받아야 해요.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ChatDTO 객체를 서버로 보내고 싶을 때, 이 객체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네트워크는 바이트 단위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요.그래서 객체를 바이트로 바꿔서 보내야 하고, 이 과정을 **"직렬화"**라고 해요. ObjectInputStream과 ObjectOutputStream의 역할ObjectOutputStream (writer)객체를 직렬화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할 때 사용... 2025. 3. 16. 이전 1 2 3 4 ··· 20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