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로드 밸런싱이란?
서버가 처리해야 할 업무 혹은 요청(Load)을 여러 대의 서버로 나누어(Balancing)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L4 로드 밸런서
-> 전송계층에서 작동하는 로드 밸런서
-> 주로 TCP 및 UD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킨다
->ip주소와 포트를 기반으로 로드밸런싱을 수행
장점
->처리 속도가 빠르다
단점
->응용계층의 정보를 활용하지 못해 기능 및 유연성이 제한적
적용사례
->온라인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등 실시간 트래픽 처리가 중요한 서비스에 적합
L7 로드 밸런서
->응용 계층에서 작동하는 로드 밸런서
-> 주로 HTTP 및 HTTPS 프로토콜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킨다
-> 요청 내용(URL, 헤더, 쿠키 등)을 기반으로 로드배런싱을 수행
장점
->다양한 기능 및 유연성 제공
단점
->처리 속도가 느리다
적용사례
->웹 서비스, API 게이트웨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등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로드밸런싱이 필요한 서비스에 적합
728x90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와 브리지 차이 (0) | 2024.01.18 |
---|---|
OSI 7계층 TCP/IP 4계층 (0) | 2024.01.17 |
Synchronous 와 Asynchronous란? (0) | 2023.12.27 |
대칭키,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0) | 2023.12.20 |
TCP와 UDP의 차이점 (2) | 2023.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