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기기가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MAC 주소는 기기의 네트워크 카드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기기를 구분하고, 올바른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MAC 주소는 네트워크 내의 기기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며, IP 주소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올바른 목적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TCP와 UDP 포트 번호는 특정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내부 네트워크는 특정한 물리적 공간 내의 기기들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말하며, 외부 네트워크는 더 넓은 인터넷을 통한 연결을 의미합니다
DHCP란?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에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프로토콜이야.
쉽게 말해, IP 주소를 일일이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공유기(또는 DHCP 서버)가 자동으로 IP를 배정해 주는 기능이야.
IP 주소만으로 구분하면 안 되는 이유
- IP 주소는 변할 수 있음 (DHCP)
- 공유기가 각 기기에 DHCP를 통해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IP가 바뀔 수 있어.
- 하지만 MAC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고정된 값이야.
- 예제
scss192.168.1.10 → 랩탑 (오늘) 192.168.1.10 → 스마트폰 (내일)
●외부망 네트워크 연결
ISP 연결: 개인이나 조직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nternet Service Provider, ISP)를 통해 외부망에 연결합니다. ISP는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공용 IP 주소 할당: ISP를 통해 연결된 장치는 공용 IP 주소를 할당받습니다. 이 주소를 통해 인터넷 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도메인 이름(예: http://www.example.com)을 입력하면, DNS 서버는 이를 IP 주소로 변환하여 해당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String serverIp = "ec2-xx-xx-xx-xx.compute-1.amazonaws.com";
int serverPort = 8080;
Socket socket = new Socket(serverIp, serverPort);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와 브리지 차이 (0) | 2024.01.18 |
---|---|
L4, L7 로드 밸런서 (0) | 2024.01.18 |
OSI 7계층 TCP/IP 4계층 (0) | 2024.01.17 |
Synchronous 와 Asynchronous란? (0) | 2023.12.27 |
대칭키,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0) | 2023.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