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27

1.3 The Network Core To send a message from a source end system to a destination end system, the source breaks long messages into smaller chunks of data known as packets.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each packet travels through communication links and packet switches (for which there are two predominant types, routers and link-layer switches) Most packet switches use store-and-forward transmission at the inputs.. 2025. 4. 18.
1.2 The Network Edge The Internet’s end systems include desktop computers (e.g., desktop PCs, Macs, and Linux boxes), servers (e.g., Web and e-mail servers), and mobile devices (e.g., laptops, smartphones, and tablets) End systems are also referred to as hosts because they host (that is, run) application programs such as a Web browser program, a Web server program, an e-mail client program, or an e-mail server progr.. 2025. 4. 16.
1.1 what is the internet? 1. we can describe the nuts and bolts of the Internet, 2. we can describe the Internet in terms of a networking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services to distributed applications End systems are connected together by a network of communication links and packet switches. When one end system has data to send to another end system, the sending end system segments the data and adds header bytes to e.. 2025. 4. 16.
내부 네트워크 외부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기기가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MAC 주소는 기기의 네트워크 카드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기기를 구분하고, 올바른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MAC 주소는 네트워크 내의 기기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며, IP 주소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올바른 목적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TCP와 UDP 포트 번호는 특정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내부 네트워크는 특정한 물리적 공간 내의 기기들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말하며, 외부 네트워크는 더 넓은 인터넷을 통한 연결을 의미합니다 DHCP란?DHCP (Dynamic Host Configur.. 2025. 3. 15.
스위치와 브리지 차이 브리지란? 네트워크의 MAC 주소에 기반하여 패킷 신호를 전송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말한다. 스위치란? 브리지에서 향상된 버젼을 말한다. 차이점 1. 스위치 처리방식-> 하드웨어 브리지 처리방식-> 소프트웨어 2. 스위치는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해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 3. 브리지에 비해 포트수가 스위치가 더 많다 4. 스위치-> 컷쓰루, 스토어 앤 포워드 방식 브리지-> 스토어 앤 포워드 방식만 사용. cut-through방식: 들어오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만을 본 다음에 바로 스위칭 하는 방식. 스위칭 속도가 빠르지만 복구 능력은 떨어진다. store-and-forward방식: 들어오는 패킷을 모두 받아들인 다음 목적지로 스위칭 하는 방식. 스위칭 속도는 느리지만 데이터 에러 등을 고칠수 있다. 2024. 1. 18.
L4, L7 로드 밸런서 로드 밸런싱이란? 서버가 처리해야 할 업무 혹은 요청(Load)을 여러 대의 서버로 나누어(Balancing)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L4 로드 밸런서 -> 전송계층에서 작동하는 로드 밸런서 -> 주로 TCP 및 UD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킨다 ->ip주소와 포트를 기반으로 로드밸런싱을 수행 장점 ->처리 속도가 빠르다 단점 ->응용계층의 정보를 활용하지 못해 기능 및 유연성이 제한적 적용사례 ->온라인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등 실시간 트래픽 처리가 중요한 서비스에 적합 L7 로드 밸런서 ->응용 계층에서 작동하는 로드 밸런서 -> 주로 HTTP 및 HTTPS 프로토콜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킨다 -> 요청 내용(URL, 헤더, 쿠키 등)을.. 2024. 1. 18.
OSI 7계층 TCP/IP 4계층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6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데이터 표현이 상이한 응용 프로세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 한다. 5계층 - 세션 계층(Session Layer) 통신 시스템 사용자 간의 연결을 유지 및 설정한다.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계층이다. 보통 TCP프로토콜을 이용하며, 포트를 열어서 응용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이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 2024. 1. 17.
Synchronous 와 Asynchronous란? Synchronous(동기) 호출하는 함수가 호출되는 함수의 작업 완료 후 리턴을 기다리거나 호출되는 함수로부터 바로 리턴 받더라도 작업완료 여부를 호출하는 함수 스스로 계속 확인하며 신경쓰는 방식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동시에 끝나거나, 끝나는 동시에 시작함을 의미 Asynchronous(비동기) 호출되는 함수에게 callback을 전달해서, 호출되는 함수의 작업이 완료되면 호출되는 함수가 전달받은 callback을 실행하고, 호출되는 함수는 작업 완료 여부를 신경쓰지 않는 방식 시작, 종료가 일치하지 않으며, 끝나는 동시에 시작을 하지 않음을 의미 Blocking/Non-Blocking I/O 와 차이점 호출되는 함수의 작업완료 여부를 호출한 함수가 신경쓰냐 안쓰냐-> Synchronous/Asy.. 2023. 12. 27.
대칭키,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대칭키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암호 키를 쓰는 알고리즘 암호 키를 가로채면 암호화된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다수가 통신을 할때에는 키의 개수가 급증하게 되어 한계가 있다. 속도가 빠르다 비대칭키 암호화와 복호화할 때 키를 서로 다른 키로 사용하는 암호화 알고리즘 공개되어서는 안되는 private key와 공개 가능한 public key를 한쌍으로 이루어진 형태 보안상 개인키가 없다면 복호화가 이루어질 수 가 없다. 속도가 좀 느리다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예) A가 B의 공개키를 가지고 데이터를 암호화 한다 -> 이걸 B에게 주면 ->B는 개인키로 이걸 복호화 한다. 더쉬운 예로는 B라는 사람에게 A라는 사람이 메세지를 전달할때 A는 B의 열린자물쇠(공개키)를 들고와 상자에 메시지를 넣고 자물쇠로 잠근.. 2023. 12. 20.
TCP와 UDP의 차이점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인터넷을 통해 디바이스에서 웹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연결형 서비스로 3 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기 떄문에 높은 신뢰성 보장 속도가 비교적 느리다는 단점 ex) 이메일을 보낸다, 온라인 동영상을 본다, 웹을 겁색한다, 친구와 채팅을 한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비연결형 서비스 3 way handshaking을 사용하지 않기 떄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 데이터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기 떄문에 속도가 빠른 장점 ex) 스트리밍, 게임 같이 빠른 속도가 중요한 상황에 쓰임 요즘은 토스가 업그레이드 UDP를 쓴다. 차이.. 2023. 12. 20.
728x90